교과과정
교과목 소개
2학년
공학수학(1) (Engineering Mathematics(1))
본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공학 문제 해결에 가장 적합한 응용 수학을 소개한다. 1년 과정의 첫 학기에는 상미분방정식, 라플라스 변환, 선형대수학 입문을 다룬다. *미분적분학 이수 후 수강 권장
공학수학(2) (Engineering Mathematics(2))
본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공학 문제 해결에 가장 적합한 응용 수학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는 확률, 확률 변수, 기댓값, 랜덤 프로세스를 다룬다. *미분적분학 이수 후 수강 권장
회로이론(1) (Circuit Theory(1))
회로이론1은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 등의 수동소자에 대한 전압 및 전류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 배우며, 직류 신호 해석 및 과도해석을 위한 핵심 해석 기법들을 배우고 다양한 회로 해석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는 과목이다.
회로이론(2) (Circuit Theory(2))
회로이론2은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 등의 수동소자의 교류 신호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교류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목이다. 또한, 교류 신호에 대한 전력 해석, 전압변환기, R-L-C 필터의 주파수 응답,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한 회로 해석 등에 대해 공부한다.
전기자기학(1) (Electromagnetics(1))
본 교과목에서는 벡터를 이용하여 전자기장에서 정전기장 대한 주요 이론 및 현상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학습한다. Vector의 기본성질, Coulomb의 법칙, Gauss의 법칙, 다양한 매질에서의 정전기장 및 정전용량 등을 다룬다.
전기자기학(2) (Electromagnetics(2))
본 교과목에서는 정전기장, 시변전자기장에 관한 주요 이론 및 현상에 대해 학습하며 더 나아가 다양한 매질에서 전자기장의 전판에 대해 다룬다.
기초전기전자실험(1) (Basic Electrical and Electronic Experiments(1))
전자/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주요 아날로그 소자 및 디지털 소자들의 특성에 대해 배우고 전기/전자 회로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법칙 및 이론적 해석 방법들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기초전기전자실험(2) (Basic Electrical and Electronic Experiments(2))
'기초전기전자실험(1)'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전기/전자 회로에 적용되는 주요 법칙 및 이론적 해석 방법들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더 나아가, 반도체 소자의 특성 및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및 반도체 소자들을 이용하여 회로를 설계한다.
디지털논리회로 (Digital Logic Circuit)
디지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원리와 논리회로의 분석방법 및 설계방법에 대한 기본지식을 제공한다. 디지털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울대수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부울함수의 간소화 방법과 부울함수의 구현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토대로 조합 논리회로, 순서 논리회로, 기억소자, 카운터,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
컴퓨터프로그래밍 (Computer Programming)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서 C언어는 고급 언어이면서도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저수준의 프로그래밍도 가능하며 뛰어난 이식성을 가진다. 효율성이 높아 많은 공학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작성에 이용되며 다른 고급 언어인 C++과 Java와 많은 공통부분을 공유하고 있어 향후 프로그래밍 개발 능력 향상에 기초가 된다.
신호및시스템 (Signals and Systems)
방송 및 통신분야의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호와 시스템을 시간 축과 주파수 축에서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를 위해 Fourier 변환, Fourier 급수 등의 수학적 배경지식을 공부하고, 방송통신 전송과 관련하여 주로 사용되는 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시스템의 입출력 신호를 시간 축과 주파수 축에서 각각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프로그래밍방법론 (Programming Methodology)
프로그래밍은 다양한 공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학적 문제 해결을 넘어 의료, 보건, 사회 제반 현상을 설명하거나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도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프로그래밍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구현,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시스템설계 (Digital System Design)
본 과목에서는 하드웨어 설계 언어 중 하나인 Verilog HDL을 사용한 디지털시스템 설계의 기본 이론 및 실습에 대해 소개한다. 디지털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회로 (연산회로, 메모리 등) 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학습하고 FPGA를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실무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학관 102-1호 TEL : 02-970-6425, 6427 FAX : 02-970-9733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