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Linear Algebra)
본 교과목은 정보통신공학 분야에 필수적인 실제 수학적인 모델링과 시스템의 분석을 위한 필수 도구인 선형대수의 핵심 주제들을 다룬다. 선형대수는 AI와 빅데이터, 5G/6G 통신시스템, 신호처리,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심화 분야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중요 교과이다. 본 교과에서는 벡터, 행렬, 벡터공간, 직교, 특성값과 특성벡터, 정부호 행렬 등의 주제를 다룬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료구조를 통해 자료를 저장하고 읽어오게 되며 이 데이터를 알고리즘으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처리하게 된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 교과에서는 리스트, 스택과 큐, 트리, 해쉬테이블, 정렬, 그래프의 주제를 다룬다.
디지털신호처리 (Digital Signal Processing)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 디지털 신호의 표현, 디지털 신호의 필터링, Discrete-time Fourier Transform, Discrete Fourier Transform, Fast Fourier Transform, FIR 및 IIR필터의 설계 등 디지털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처리기술을 다룬다. 또한 필터설계 등을 MATLAB 실습을 통해 체험한다.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s)
데이터 통신의 기본이론과 응용에 대하여 다루며,특히 통신 프로토콜, 전송매체 및 전송방식, 다중화,부호화 및 오류제어 방식 등을 상세히 다룬다. 또한 데이터링크 프로토콜과 근거리 통신망을 비롯한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의 개념과 실제를 다룬다.
전자회로(1) (Electronic Circuits(1))
본 교과목은 MOSFET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Amplifier를 다루는 학문으로, Semiconductor 에 대한 기본지식 및 PN 접합 Diode, Common Source Amplifier, Common Gate Amplifier, Common Drain Amplifier 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공부한다.
전자회로(2) (Electronic Circuits(2))
본 교과목은 Wafer 위에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Amplifier를 다루는 학문으로, Building block Integrated Circuit Amplifier, Differential and Multistage Amplifier, Frequency Response, Output stages 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공부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 및 동작원리에 대한 이해와 설계 지식을 습득한다. 실습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주변회로에 대한 설계 및 제어능력을 배우고, 학기말 과제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시스템을 직접 설계한다.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본 교과목에서는 자동제어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필요한 능력을 키운다. 주요 내용으로는 제어시스템의 서론,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 궤환제어시스템의 특성, 궤환제어시스템의 성능, 선형궤환시스템의 안정성, 근궤적 기법, 주파수 응답 기법, 주파수영역에서의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시간영역 해석, 궤환 제어시스템의 설계와 보상 등이다.
컴퓨터구조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방식에 대해 배우는 과목이다. 본 과목을 통해 RISC/CISC, 명령어 집합, 데이터 연산, 데이터처리 설계, 데이터 형식, 메모리 구성, 입출력 회로, 멀티코어 구조 등에 대해 배우며, 하드웨어 설계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RISC 프로세서 설계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통신 (Digital Communications)
본 교과목을 통해 디지털통신시스템의 구성과 전송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신호및시스템에서 학습한 기초이론을 기반으로 정보통신공학도로서 필수적으로 갖춰야할 디지털통신 시스템의 전송을 위한 이론 및 시스템 구성을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MATLAB tool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처리 및 통신시스템을 분석하는 기법을 익힌다.
디지털집적회로 (Digital Integrated Circuits)
디지털집적회로에서는 연산, 논리 및 기억 기능 블록을 위한 조합/순차 논리 회로의 기본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CMOS 집적회로의 제작, 동작과 설계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룬다. 또한, 타이밍, 연결선 및 설계 방법론에 대하여도 배운다.
전력전자 (Power Electronics)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발전(풍력, 태양광), 철도차량, 가전 제품 등에 사용되는 전력변환 회로의 기초에 관하여 학습한다.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회로를 기반으로 전력의 변환 및 제어를 다룬다.직류-직류 변환, 교류-직류 변환, 직류-교루 변환 회로들의 토폴로지, 동작원리 등에 관하여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력변환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딥러닝기초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본 과목에서는 딥러닝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규칙성을 자동으로 발견하고, 이러한 규칙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류, 예측 및 이해하는 것을 다룬다. *확률과통계, 선형대수 이수 후 수강 권장
시스템프로그래밍 (System Programming)
본 과목에서는 리눅스 시스템과 운영체제의 중요 개념들에 대해서 학습 및 이해하고, 리눅스 환경에서 시스템 콜을 활용한 시스템 프로그램 작성에 대해서 학습한다. 운영 체제의 중요 개념인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과 입출력,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병렬 프로그래밍 및 동기화 관련 내용들을 학습하고, 이론적인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실제 시스템 프로그램 작성 능력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