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교과목 소개
4학년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대한 기초 지식 및 응용 분야를 소개한다. 데이터 모델링, 시각화, 분석기법에 대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딥러닝을 이용한 컴퓨터 비전, 음성 인식 등 최신 인공지능 기술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본다.
컴퓨터비전 (Computer Vision)
본 교과목에서는 컴퓨터비전을 소개하고 관련성이 높은 영상처리와 영상이해도 다룬다. 학습할 주제는 영상의 구성, 영상처리 기본, 특징추출, 정합, 객체검출 및 추적, 인식 등이다.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다층신경망(딥러닝)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이론을 소개한다.
이동통신시스템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본 교과목에서는 디지털통신 교과목에서 익힌 물리계층 송수신 기술과 데이터통신 교과목 등에서 익힌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기술의 요소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모바일 통신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ICT융합공학과 졸업생이 익혀야할 모바일 서비스 및 미디어 전송 기술 등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관련된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힌다.
응용전자회로 (Applied Electronic Circuits)
본 교과목은 MOSFET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에서 Advanced Topics을 다루는 학문으로, CMOS Digital Logic Circuits, Memory Circuits, Filters and Tuned Amplifiers, Signal Generator and Waveform-Shaping Circuits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공부한다
실감미디어공학 (Immersive Media Engineering)
디지털TV원리, UHDTV에서의 실감 요소, 3DTV, 자유시점 비디오, VR, AR/MR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통해 실감미디어와 미래 실감미디어 기술분야에 대비하도록 함.주요 선수과목: 프로그래밍언어, 디지털신호처리, 영상신호처리 등
VR/AR (VR/AR)
본 교과목에서는 VR과 AR의 개념을 소개하고, VR영상 구성원리, 압축 부호화, 적응적 전송 개념, VR용 HMD(head mounted device) 구성 원리 등을 다룬다. AR을 위한 영상인식, 영상 증강기법, AR용 HMD등을 다룬다. VR과 AR의 콘텐츠 제작원리와 도구를 학습시키고 실습을 통해 응용 콘텐츠 제작 능력을 함양시킨다.
멀티미디어통신 (Multimedia Communications)
본 교과목에서는 데이터통신 교과목에서 익힌 OSI 7 Layer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TCP/IP protocol과 application layer protocol 등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ICT공학과 졸업생이 익혀야할 미디어 스트리밍 기술 등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관련된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힌다.
반도체소자공학 (Semiconductor Element Engineering)
본 교과목은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다루는 학문으로, 양자역학과 관련된 고체 물리의 전문지식을 공부하며, 집적회로에서 사용되는 PN접합 및 반도체로 제작되는 MOSFET에 대한 이해를 넓게 해준다.
캡스톤디자인(1) (Capstone Design(1))
이론과 부합된 실기능력 향상을 위해 학생이 대학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휘하여 공학적 성과가 인정되는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졸업작품으로 구체화함으로써 공학도로서 가져야 할 기본소양과 전문지식을 총체적으로 점검한다. 또한 정해진 주제에 대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개별 또는 조별 실습 이 진행되며 그 결과물은 공개 심사한다. *3~4학년 전공교과목 8과목 이상 이수 후 수강 가능
캡스톤디자인(2) (Capstone Design(2))
'캡스톤디자인(1)'에서 도출한 결과물을 계속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켜 이론과 부합된 실기능력 향상을 위해 학생이 대학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휘하여 공학적 성과가 인정되는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졸업 작품으로 구체화함으로써 공학도로서 가져야 할 기본 소양과 전문지식을 총체적으로 점검한다. 또한 정해진 주제에 대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개별 또는 조별실습이 진행되며 그 결과물은 공개 심사한다. *3~4학년 전공교과목 8과목 이상 이수 후 수강 가능
코업(3),(4)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3),(4))
현장적응력 있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기 단위로 운영하며 학생은 재학 중 현장체험을 통해 학업과 현장 업무를 연결하고 졸업 후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은 코업 기간 중에 전공과 관련된 기업의 실제 업무에 투입되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할 수 있다. 학생은 매학기 단위로 코업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코업 종료 시에는 기업 평가서를 또 기업은 학생 평가서를 현장실습지원센터에 제출한다.
코업프로젝트(3),(4) (Co-operative Education Project(3),(4))
코업 프로젝트는 학생이 코업 교과목의 학점을 인정받을 경우 자동으로 학점이 인정되는 교과목으로, 한 학기 동안 풀타임으로 인턴을 수행했다는 것을 증명하여 준다. 코업 프로젝트의 학점은 졸업학점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성적표에 기록되어 나타난다.
현장실습(인턴십)(1),(2) (Field Training(Internship)(1),(2))
산업체의 기술현황을 파악하고 직접 배우고 익힘으로써 실제적인 업무에 부딪혔을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학관 102-1호 TEL : 02-970-6425, 6427 FAX : 02-970-9733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